p5.
포유동물은 자손에게 위험한 외부 세계와 차단된, 안전한 양육 환경을 제공한다. 자궁은 그러한 최적의 환경이다. 꿀벌 역시 벌집이라는 '사회적 자궁 social uterus'속에서 유충을 안전하게 양육한다.

사회적 자궁안에 보호받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 노숙자와 연결고리를 찾는것

p8.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 모든 유기체는 수적으로 많고, 질적으로 다양한 자손의 배출을 요구받는다. 이는 본능적인 생존전략이다. 그러나 특정 유기체 무리가 진화를 거듭하여 어떤 환경에서도 적응할 수 있는 특성을 갖게 되면, 그리하여 예측 불가능한 환경으로부터 적잖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 적은 수의 자손을 배출해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포유동물과 꿀벌은 이런 특별한 범주에 속한다. 

그렇다면 왜 지금 꿀벌이 멸종위기에 있다는 것인가?

p42.
흔히 유성생식을 하는 동물들은 짝짓기를 한다. 그리고 짝짓기를 통해 태어난 자손들은 마찬가지로 짝짓기를 통해 다음 세대를 생산한다. 그러나 꿀벌은 다르다. 

여왕벌은 일년에 딱 한번 하나 내지 셋 정도의 딸을 만들어 내는데, 이 딸이 자라 그 어머니가 그랬듯이 옛 벌집이나 새 벌집에서 같은 방식으로 번식한다. 이를 위해 여름 한철 동안 젊은 여왕별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몇천 마리의 수벌들이 만들어진다. 이 수벌들은 이웃한 다른 벌집의 여왕벌들과 짝짓기를 한다. 

p.44
꿀벌처럼 암컷의 수가 극도로 적고, 수컷이 많은 것은 당황스럼다. 상황이 정반대라면 훨씬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수컷은 소수라도 많은 난자를 수정시키기에 충분한 정자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태 능력이 있는 암컷, 즉 여왕벌의 등장과 관련하여 꿀벌 특유의 독특한 시간적 리듬은 더욱 놀랍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생리와 환경 조건이 허락하는 한, 보통 하나의 시공간에 되도록 많은 세대를 집어넣는다. 그러나 꿀벌은 다르다. 도대체 꿀벌의 선택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생식이 가능한 암컷을 극단적으로 적게 생산하는 것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매우 위험한 일이다. 찰스 다윈은 살아남기 위해 수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손을  생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원칙은 꿀벌에게 통하지않는다. 꿀벌은 다양성의 폭이 좁고 자연선택의 가능성이 그리 넓지 못하다. 소수의 자손이 멸절해 버리면 그들의 유전자는 한 개체군의 유전자군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릴 수도 있다.
(그렇다면 지금 멸종과 관련되서 만약에 여왕벌의 수를 늘린다면 멸종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인가?)

p.54
'영원한 군락'은 구성원이 계속 보충될 때 가능한 일이다. 흔히 일벌은 4주에서 12개월마다 교체되고, 여왕벌은 3년에서 5년마다 교체된다. 수벌의 수명은 일벌과 마찬가지로 매우 짧은데, 평균적으로 2주에서 4주가량 생존한다. 실제로 5만 마리의 꿀벌 군락에서 매일 500마리 정도가 죽는 것을 감안한다면, 매일 1 퍼센트씩의 꿀벌이 교체된다고 할 수 있다. 여왕벌을 제외하면 4개월 이내에 전체 군락이 교체되는 셈이다.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체는 군락의 유전적 동질성을 파괴하지 않는다.
(굳이 노숙자 쉘터와 연관을 짓는다면, 로테이션을 돌리는 방안 스타아파트먼트 시스템처럼)
하지만 새 여왕벌이 탄생하여 알을 낳기 시작하면 군락의 유전적인 구조는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바뀌게 된다. 즉 새 여왕벌의 탄생은 기존의 꿀벌 군락에 '유전적 죽음'을 가져온다. 새 여왕벌의 난자와 수벌의 정자가 만나 유전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개체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런 전환은 분봉을 통한 군락의 증식을 앞두고 새 여왕벌이 탄생될 때마다 정기적으로 일어난다. 물론 초개체에게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쳤을 때에는 임의의 애벌레를 새로운 여왕벌로 양육하기도 한다.
(여왕벌을 만들수도 있나? 태어날때 여왕벌로 태어나는 게 아니라 먹이를 다르게 주고 양육 방식을 다르게 하면 여왕벌로 키울 수 있나?)
p.55
꿀벌 군락이 이렇게 '유전적 색깔'을 바꿔가며 분열하면, 분봉해 나간 새로운 군락이 정착할 장소가 부족해지지는 않을까? 하지만 그렇지는 않다. 질병이나 기생충, 강도, 영양 및 물 부족, 화재 등과 같은 불행이 정기적으로 개입하여 불멸의 군락을 파국으로 몰고 가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새로운 군락이 생존의 기회를 얻기도 한다. 그렇지만 분봉하여 벌집을 떠난 꿀벌 군락의 생존율은 그다지 높지 않다. 이사의 모험을 제대로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특히 추가적으로 분봉하는 바람에 개체 수가 적은 군락이 분봉을 한 후에 악천후를 만나기라도 하면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물론 새로운 벌집을 찾아 첫 계절을 무사히 넘긴 군락의 미래는 밝다.
(만약에 내가 옥상에 이러한 벌집통을 놓는다고 하면, 이들이 분봉을 하는 과정이 쉬워질까? 어떻게 분봉을 하는 건가. 자연적으로는 분봉을 할 때 벌집을 자기들이 새로 만드나? 아니면 원래 기존에 있던 빈집으로 들어가는 걸까?)




꿀벌과 관련된 사실들
1.꿀벌은 여름에 약 5만 마리, 겨울에 약 2만 마리가 무리를 지어 산다.
2. 꿀벌은 꽃꿀과 꽃가루를 모은다. 꽃꿀은 꿀벌의 입에서 분비되는 효소로 인해 미네랄이 풍부한 벌꿀이 되고, 꽃가루는 그 자체로 단백질이 풍부한 영양분 덩어리이다. 
3. 꽃꿀은 꿀벌의 소화기관 앞에 있는 꿀주머니에 넣어 나르고, 꽃가루는 긴 털로 덮여 있는 종아리 부위에 묻혀 나른다.
4.꿀벌이 분비한 밀랍은 벌집의 재료로 사용되고, 벌집은 꽃꿀과 꽃가루의 저장고이자 유충을 키우는 방으로 활용된다. 
5.일벌은 암컷이지만 생식이 불가능하다.
6. 수벌은 번식기에만 배출된다. 수벌의 존재 목적은 오직 처녀 여왕벌과 짝짓기를 하기 위한 것이다.
7.꿀벌 군락에 여왕벌은 오직 하나다. 여왕벌은 배 부분이 다른 벌보다 2배 이상 길어 구별이 쉽다. 
8.여왕벌은 방 하나에 알 하나씩을 낳는다. 여름 한 철에 알을 낳는 횟수는 20만번에 이른다.
9.암컷은 수정된 알에서 태어나지만, 몸짓이 좀 더 큰 수컷은 수정되지 않은 알에서 태어난다. 
10. 일벌은 벌집을 짓는 일부터 시작하여 벌집을 청소하는 일, 벌집을 지키는 일, 유충을 돌보는 일 등 여러 일을 거친 뒤에 나이가 들어서 마지막 단계로 꿀을 채집하는 일에 나선다. 
11. 여름이 되어 새로운 여왕벌이 탄생하면 로열젤리를 공급하며, 특별히 제작한 왕대에서 양육한다. 새로운 여왕벌은 일생에 단 한번뿐인 혼인비행에서 수벌들과 짝짓기를 한다.
12.일벌은 여왕벌에게 일생 동안 로열젤리를 공급한다. 시녀벌의 각별한 보살핌을 받으며 여왕벌은 오직 알을 낳는 일에만 전념한다. 
13.분봉을 앞두고 꿀벌들이 무리 지어 모여있다. 여왕벌은 군락의 상당수를 이끌고 새로운 벌집을 찾아 떠난다.
14.벌집에서 겨울을 나는 꿀벌은 서로 바짝 달라붙어 날개근육을 움직임으로써 체온을 유지한다. 필요한 에너지는 벌집에 저장해 놓은 꿀에서 얻는다. 
15.꿀벌은 현화식물(꽃이 피어 씨로 번식하는 식물)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다. 
Back to Top